728x90

요청 메서드

 

GET

서버로부터 특정 리소스를 받아서 표시할 때 사용하며 데이터를 받기만 함

HEAD

GET과 동일하지만 응답 본문을 포함하지 않음

POST

특정 리소스의 엔티티를 서버에 보낼 때 사용

PUT

서버 리소스의 상태를 수정

DELETE

특정 리소스 삭제

CONNECT

서버와의 터널을 맺음

OPTIONS

서버 리소스의 통신을 설정

TRACE

서버 리소스의 경로를 따라 룩백 테스트 수행

PATCH

리소스의 일부분만 수정 시 사용

 

메시지

스타트 라인 / 스테이터스 라인

요청 / 응답에 대한 성공과 실패가 기록

헤더

요청 / 응답에 대한 설명

줄바꿈 라인

빈 공백으로 헤더와 몸통 구분

몸통

요청 / 응답과 관련된 내용이나 문서가 들어가는 영역

 

무상태성

HTTP는 특정한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가지지 않으므로 상태를 유지할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함

주로 캐시와 쿠키가 사용 됨

 

상태코드

100번대

정보응답에 관한 코드

200번대

요청과 응답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상황에 관련된 코드

300번대

요청과 응답에 대한 리다이렉션 코드

400번대

클라이언트 측의 오류에 대한 코드
500번대

서버 측의 오류에 대한 코드

 

'Back-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nkins를 처음 사용해보며 느낀점  (0) 2024.05.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