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취직 후에 알고리즘을 놓아버리고 언젠간 다시 시작해야겠다고 다짐만 하고 있었는데, 마침 코드트리를 한 달 동안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서 신청하게 되었다. 간단하게 한 달 동안 사용하면서 느꼇던 코드트리의 장단점과 다른 플랫폼과의 차이점에 대해 정리해보겠다.
참고로 코드트리는 유료 서비스이며, 글에서 언급할 백준과 프로그래머스는 무료 서비스다.
장점
코드트리는 크게 6가지 커리큘럼과 각 커리큘럼에 여러 개의 챕터로 세분화하여 기초 문법부터 기본적인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거쳐 심화 단계를 차근차근 배울 수 있다.
다른 PS 플랫폼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코딩 문제를 제공해주는데, 백준과 프로그래머스의 경우에는 개념을 따로 가르쳐주지 않고, 직접 책이나 강의를 통해 학습해야 하지만, 코드트리는 언어별로 개념과 코드를 직접 가르쳐주기 때문에 알고리즘에 처음 입문하는 사용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
IDE처럼 높은 수준의 자동 완성까지는 안되더라도 자신이 한 번 작성한 코드들에 한해서는 자동완성도 지원해서 반복적인 타이핑을 줄일 수 있다.
백준을 가장 많이 사용하지만 개인적으로는 프로그래머스처럼 문제와 에디터가 한 페이지에 보이는 것을 더 좋아하는데, 코드트리의 UI가 한 페이지에 모두 보이고, 크기도 자유자재로 변경가능해서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다.
언어도 다양하게 지원하기 때문에 홍대병 말기 수준의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면 사이트 이용에 지장은 없다.
단점
문제를 풀고 나면 다른 사람이 제출한 코드들을 보면서 더 좋은 풀이와 다양한 접근 방식들을 배울 수 있는데, 필터는 언어와 상태별로 다양하게 제공되지만, 수행 시간이나 메모리 같은 것들에 대한 정렬을 제공하지 않아 페이지를 이동하며 직접 효율적인 코드들을 찾아야 하는 것이 불편하다.
아직 기출 문제 서비스가 삼성 SW 역량 테스트만 제공한다.
에디터만 라이트 모드와 다크 모드 전환을 지원하고 사이트의 전체적인 UI의 다크 모드는 지원하지 않는다.
다크 모드가 아니면 숨이 안쉬어지는 사람들은 사이트를 이용하지 못할 수도 있다...
마치며
아직은 서비스 기간이 짧다보니 대표적인 PS 플랫폼인 백준과 프로그래머스에 비해 커뮤니티의 활성화와 다수의 사용자들의 다양한 풀이를 볼 수 없는 부분이 아쉽지만, 한 달 동안 사용하면서 사이트 자체의 서비스는 매우 만족스럽게 사용했다.
만약에 사용하는 언어가 아직 미숙하고, 알고리즘을 처음 접하는 사람이라면 다른 플랫폼들보단 코드트리를 더 추천하고 싶다. 유료긴 하지만 집중력과 긴장감을 부여하기 위해 자체 타임 어택 느낌으로 너무 긴 기간 결제하지 않고 4 ~ 6개월 정도 해보는 것도 좋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6개월 할거면 연간 결제가 더 효율적이다
추가로, 작성자처럼 기존에 알고리즘을 해보았지만 오래 쉬다 다시 시작해보려는 사람들한테도 손실되었던 알고리즘 두뇌의 재활 치료 목적으로 추천하고 싶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보려 정리한 개발 관련 북마크 (1) | 2024.03.25 |
---|---|
개발 레퍼런스에 자주 나오는 영단어/문법 정리노트 (0) | 2023.08.11 |
배경화면을 개발자답게 꾸며보기! - 배경화면 만들기 (0) | 2023.06.20 |
배경화면을 개발자답게 꾸며보기! - 개요 (0) | 2023.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