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OAuth 2.0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인증을 직접 처리하지 않고

신뢰할 수 있는 써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이 대신 처리하게 한 후에

해당 써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까지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요새 자주 사용되는

구글/카카오/네이버 등을 이용한 로그인 방식이다.

 

기존 서버에서 인증을 하고 외부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외부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인증을 받아야 해서

두 번의 인증 과정이 필요하지만

이 방식을 사용하면 한 번의 인증만으로도 가능해진다.

 

인증 방식

OAuth 2.0를 사용하지 않는 기존의 로그인 방식은

클라이언트 요청 → 웹 서버 인증 → 외부 애플리케이션 서버 인증 순서로 진행되었다면

OAuth 2.0를 사용하게 되면

클라이언트 요청 → 웹 서버가 써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이 인증 위임 순서로 진행된다.

 

자세하게 적어보자면 아래와 같다.

  1. 클라이언트의 인증 요청
  2. 웹 서버가 써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에 인증 위임
  3. 써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이 인증 처리 후 성공하면 액세스 토큰 전달
  4. 웹 서버가 액세스 토큰을 사용하여 외부 애플리케이션의 API 사용

 

사용 유형

써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의 API를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처럼

캘린더나 지도 등의 외부 API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때 사용된다.

 

사용자의 크리덴셜 정보를 남기고 싶지 않은 경우에도

OAuth 2.0을 사용하여 추가적인 인증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 Recent posts